특별한 이유가 없는데 손이 미세하게 떨리는 증상, 바로 수전증인데요, 수전증은 은근히 스트레스를 주고 신경이 쓰이는 증상인 것 같아요. 그렇다면 수전증은 도대체 왜 생기는 것이며, 과연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 해요.

1. 수전증의 원인

수전증의 원인은 다양한데요, 보통 한 가지 요인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수전증의 구체적인 원인은 떨림의 양상이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질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가장 대표적인 수전증은 바로 스트레스, 불안, 피로, 카페인, 저혈당(저혈당) 또는 열과 같은 생리적 요인에 의한 수전증인데요, 이런 수전증은 일시적이고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문제는 만성적인 수전증일텐데요,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에서 비정상적인 회로가 작동하면서 수전증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하네요. 이런 수전증은 점진적으로 시작되며, 나이가 들면서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수전증은 질병에 의해 발생하기도 해요. 대표적으로 파킨슨병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수전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파킨슨병은 뇌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세포가 소실되면서 생기는 진행성 신경질환으로, 손에 힘을 빼고 있을 때 떨림이 심해지는 것이 파킨슨병이 있는 환자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수전증의 특징이에요. 또 하나의 질병에 의한 수전증의 원인은 다발성 경화증, 뇌졸중 또는 뇌 손상과 같은 질환으로 뇌의 기능이 망가져 발생하는 수전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수전증은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어요. 특정 천식 약물이라든지, 정신과 약물, 흥분제가 포함된 약물을 복용하면 수전증이 심해질 수도 있어요.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제일 잘 알려진 수전증의 원인은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 때문이죠. 카페인이나 알코올은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를 흥분시켜 수전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혹시 디스토니아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디스토니아는 지속적인 근육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장애로, 이런 장애가 있으면 아무래도 근육이 수축되어 수전증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또한 요즘 갑상선 질환 가지신 분들 많으시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으면 수전증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손 떨림과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수전증은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심인성 수전증은 스트레스, 불안, 또는 감정적 외상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극도의 긴장상태에 놓이면 손이 덜덜 떨리는 경험을 다들 한 번쯤은 하셨을 것 같아요. 

2. 수전증 완화방법

수전증은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가 없죠. 그래서 수전증이 있으면 스트레스도 상당히 많이 받을 수 있는데요, 수전증을 완전히 고치진 못하더라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같이 알아봐요. 

약물: 만약 수전증이 파킨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같은 질병에 의한 것이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베타 차단제 (예: 프로플라놀롤)나 항경련제 (예: 프리미돈)와 같은 약물이 일반적으로 손 떨림을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요.

카페인 줄이기: 카페인은 자율신경계를 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수전증이 있으면 카페인을 줄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스트레스 감소: 스트레스와 불안은 손 떨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니 스트레스가 심할 때는 심호흡, 명상, 그리고 이완 운동 등을 해서 스트레스를 관리하면 수전증도 완화될 수 있어요.

적절한 휴식: 피로는 수전증을 더 악화시킬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것이 수전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보조 장치: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순 없겠지만 수전증이 있는 분들은 일상적인 작업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다양한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손떨림 방지 펜을 사용하면 글씨를 쓸 때 떨림을 완화할 수 있다고 해요.

수술: 수전증 완화방법에 수술도 있다는 것, 아셨나요? 심층 뇌 자극(DBS) 또는 집중 초음파(신경 절제술)와 같은 수술이 그 수술인데요, 사실 이런 수술적 요법은 신경과 의사 또는 신경 외과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 후에 결정하셔야겠죠.

심리적 지원: 만약 수전증이 심인성이나 스트레스 때문에 생긴 증상이라면, 심리 치료나 상담으로써 그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도 있어요.

수전증. 별거 아닌 것 같아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겐 큰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요, 수전증 완화 방법을 통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는 삶을 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