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은 한동안 계속 금리를 인상하며 물가를 잡는 계획을 추진해 왔는데요, 세계 최고의 투자은행인 골드만 삭스는 13일 (현지시각) 발표에서 미국 연준이 내년 중순부터 단계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계획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알아볼까요?
1. 현재 미국의 금리 상황
미국은 2019년, 코로나로 인한 영향으로 시장경제가 위협을 받자 시장경제 활성화를 위해 계속 금리를 낮춰왔습니다. 결국 미국의 금리는 점점 낮아지다가 2020년 3월부터 20222년 1월까지 0.25% 로 최저 수준으로 관리돼 왔는데요, 이 시기엔 모두가 알다시피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주위에 돈을 못 번 사람이 없을 정도로 부의 축적을 이룰 수 있는 시기였습니다.
이렇게 최저 금리를 이어오다가 코로나가 잠잠해지고 펜데믹 현상이 일어난 뒤, 독감 정도의 수준으로 관리가 되면서부터 미국은 그동안 시장에 풀었던 돈을 회수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금리를 올림으로써 회수 작업에 들어간 것인데요, 2022년 3월부터 금리를 차츰 올려 2023년 7월, 현재시점에서는 무려 5.50% 까지 금리를 올렸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환율이 치솟았고, 원화의 가치는 계속 떨어졌는데요,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금리도 같이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죠. 따라서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3.50% 가 되었습니다. 미국보다 금리가 높진 않지만 이러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우리나라도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부동산 호황기를 맞아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마련한 사람들이 대출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파산위기에 놓이게 되었고, 역전세로 인해 전세입자들에게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한 사례도 심심치 않게 접할 수 있습니다.
2. 골드만 삭스의 미국 금리인하 계획 예측
이런 상황 속에서 미국의 투자은행 골드만 삭스는 현지시간 13일에 내년 2분기부터는 미국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발표했는데요, 현재 미국의 금리 5.50%에서 단계적으로 낮춰 최종적으로는 3.0%~3.25% 범위까지 낮출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은 것입니다. 이러한 금리인하 계획을 내놓은 이유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CPI) 가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예측했기 때문이에요. 골드만삭스는 연준의 금리인하 계획이 분기당 0.25% 씩 인하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그 속도는 불확실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놓았어요.
3. 미국의 금리인하 계획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그럼 미국이 금리를 인하했을 때,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통상적으로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면 우리나라도 그에 맞추어 금리를 인하할 확률이 큰데요, 미국의 금리를 그대로 따라간다고 가정해 보았을 경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3.25% 수준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이렇게 될 경우, 현재의 대출 금리가 4%대 초반으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현재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대출금리 역시 미국의 금리인하 계획에 맞추어 낮아진다면, 지금보다는 싼 이자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셈이 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현재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많은 부동산 투자자들과 내집마련 계획이 있는 사람들이 부동산 매입을 고민해 보게 될테고, 부동산 시장은 다시 호황을 맞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죠. 그러나 미국의 금리가 단계적으로 인하를 할 계획이고, 부동산 가격의 경우에는 꼭 금리라는 한 요소 때문이 아니라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결정되는 만큼, 예전처럼 한 번에 폭등을 할 가능성은 희박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금리가 인하된다면 그만큼 내수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데요, 시장에 풀리는 돈 역시 많아지면서 기업들의 수입 또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런 영향이라면 주가 역시 치솟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례로 코로나 때 금리가 대폭 인하해서 주가가 치솟아 순식간에 벼락부자가 된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겠죠.
따라서 해당 금리 인하 소식이 어떤 사람들에겐 부를 축적할 수 있는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지나간 시간들은 되돌아오지 않지만 앞으로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미리 대비를 해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라이팅의 뜻과 가스라이팅 대처법 (0) | 2023.08.16 |
---|---|
남성 탈모 원인과 프로페시아, 아보다트 효능 및 부작용 (0) | 2023.08.15 |
펫 로스 증후군의 증상과 극복법 (0) | 2023.08.14 |
심근경색의 의미, 골든타임 및 전조증상 (0) | 2023.08.14 |
집에 초파리가 생기는 이유와 초파리 없애는 법 (0) | 2023.08.11 |